블로그 이미지
일각여삼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

2013. 12. 19. 22:23 일본문학

光と風と夢

원문출처 : http://www.aozora.gr.jp/cards/000119/files/1743_14532.html

──────────────────────────────────────────────────────────────



1884년 5월 어느 늦은 밤, 35세의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스는 남프랑스 예일의 객사에서 돌연 심한 각혈에 시달렸다. 급히 달려온 아내에게 그는 종이칼[각주:1]에 이렇게 적어 보여주었다.

「두려워할 것은 없소. 이게 죽음이라면 편한 것이니.」

그후 그는 요양지를 찾아 전전해야만 했다. 영국 남부의 휴양지 본머스에서 삼 년 있은 후, 콜로라도로 가보라는 의사의 말에 따라 대서양을 건넜다. 미국도 생각처럼 좋지 않아 이번에는 남태평양행을 해보기로 했다. 70톤의 스쿠너는 마르키즈, 투아모투, 타히티, 하와이, 길버트를 거쳐 일 년 반의 순항 끝에 1889년 말 사모아의 아피아 항에 닿았다. 해상 생활은 쾌적했고, 섬의 기후는 부족함이 없었다. 스스로 「기침과 뼈일 뿐이다」라던 스티븐스의 몸도 일단 소강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는 이곳에서 살 마음이 들어, 아피아 시외에 사백 에이커 정도의 토지를 구입했다. 물론 여기서 일생을 보내야겠다는 생각을 한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다음해 이월, 구입했던 토지의 개간이나 건축을 잠시 다른 사람에게 맡기고 자신은 시드니까지 외출했다. 거기서 배편을 기다려 일단 영국에 돌아갈 생각이었다.

하지만 그는 곧 영국에 있는 친구에게 다음과 같은 편지를 써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사실을 말하자면 난 이제 한 번밖에 영국에 돌아가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네. 그리고 그 한 번이란, 죽을 때겠지. 나는 열대에 있어야만 조금이나마 건강한 것 같네. 아열대인 이곳(뉴칼레도니아)에서도 나는 금방 감기에 걸리더군. 시드니에서는 결국 각혈까지 오고 말았지. 안개가 짙은 영국에 돌아가는 일 따윈 지금은 생각조차 하기 힘들어. ……난 슬픈 것일까? 영국에 있는 일고여덟명, 미국에 있는 한두명의 친구와 만날 수 없게 된다는 것, 그게 괴로울 뿐이지. 그걸 빼고는 오히려 사모아가 더 마음에 든다네. 바다와 섬의 원주민들, 섬 생활과 기후가 나를 정말로 행복하게 해주겠지. 나는 이 유형(流刑)을 절대로 불행이라고 생각하지 않네.」

그해 십일월, 그는 겨우 건강을 되찾아 사모아로 돌아왔다. 그의 매입지에는 원주민 목수가 만든 작은 오두막집이 세워져 있었다. 본건축은 백인 목수가 아니면 할 수 없다. 그게 완성될 때까지 스티븐스와 그의 아내 패니는 오두막집에서 먹고 자면서 스스로 원주민들의 감독을 맡아 개간에 돌입했다. 그곳은 아피아 시에서 남쪽으로 삼 마일 떨어진 휴화산 바에아의 산중턱으로, 다섯 개의 시냇물과 세 개의 폭포, 그외 몇 개의 협곡과 벼랑을 포함한 육백 미터에서 천삼백 미터에 이르는 높이의 대지(台地)였다. 원주민들은 이 땅을 바이리아라고 불렀다. 다섯 강이라는 뜻이다. 울창한 열대림과 묘망한 남태평양의 조망을 가진 이 땅에 자신의 힘으로 생활의 초석을 세워나가는 것은 스티븐스에게 있어서 어릴 적 모형 정원 놀이와 같은 순수한 기쁨이었다. 자기 손으로 자기 생활을 직접 유지함에 대한 의식(意識)――스스로 말뚝을 하나하나 박아넣은 그 땅 위의 집에 살면서, 스스로 톱을 들고 만드는 것을 도운 의자에 앉아, 스스로 괭이를 잡아 일군 밭에서 키운 야채와 과실을 얼마든지 먹는 것――유년 시절 처음 자력으로 만들어낸 수공품을 테이블 위에 놓고 관찰했을 때의 신선한 자존심을 되찾아 주었다. 이 오두막집을 구성하고 있는 통나무와 판자, 하루하루의 음식물까지 모두 그 내력을 알고 있다는 것――요컨대, 저 나무들은 전부 자신의 산에서 베어져 자신의 눈앞에서 대패질한 물건이고, 저 음식물의 출처도 전부 확실히 파악하고 있다는(이 오렌지는 어떤 나무에서 딴 거고, 이 바나나는 어떤 밭에서 나왔다는) 것. 이것도 어릴 적 어머니가 만든 요리가 아니면 안심하고 먹을 수 없었던 스티븐스에게, 어딘가 안심을 갖게 해주었다.

그는 로빈슨 크루소, 또는 월터 휘트만의 생활을 실현하고 있었다. 「태양과 대지와 생물을 사랑하고, 부를 경멸하며, 원하는 자에게 내려주는 백인문명과 닮았다고 하는 커다란 편견과 가정. 교육받지 못하고[각주:2] 힘이 넘치는 사람들과 함께 활보하고, 밝은 바람과 빛 속에서 힘든 노동을 한 피부 밑에서 피가 도는 것을 기분좋게 느끼며, 사람들에게 비웃음 받지 않을까 하는 걱정을 잊고는 정말이라 생각하는 것만 말하고 정말로 원하는 것만 행한다.」 이것이 그의 새로운 생활이었다.


  1. 원문은 紙切り로 切り紙에 자른 종이쪼가리라는 뜻이 있어 切り紙의 오기가 아닐까 의심됨. [본문으로]
  2. 教育なき [본문으로]
posted by 일각여삼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