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일각여삼추

calenda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

2014. 1. 15. 22:51 일본괴담

狸と俳人


원문출처 : http://www.aozora.gr.jp/cards/000154/files/42276_16444.html


안에이(安永) 연간(年間)의 일이다. 이세타이뵤(伊勢大廟)[각주:1]의 나이구료(内宮領)에서 게쿠료(外宮領)에 이르는 뒷길에 감으로 유명한 렌다이지(蓮台寺)라고 하는 마을이 있었는데, 사와다 쇼조(澤田庄造)라는 사람이 그곳에 살았다.

쇼조는 다른 이름은 나가요(永世), 호는 로쿠메이(鹿鳴)라고 하였는데 와카(和歌)와 하이쿠(俳句)에 능했다. 특히 하이쿠는 그 무렵 꽤 유명해서 같은 길을 걷는 사람 사이에서는 별난 구석이 있는 하이쿠 시인으로 통했다.

쇼조는 번잡을 싫어해 장가도 들지 않고 때때로 찾아오는 시우(詩友) 외에는 이렇다 할 교제도 없이 혼자 방에 칩거하며 시를 짓는 것만을 즐겼다.

어느 늦가을 저녁의 일이었다. 평소처럼 떫은 차(渋茶)를 홀짝거리며 시 짓기에 골몰하던 쇼조가 문득 돌아보니 창문 창호지에 이상한 그림자가 비쳤다. 쇼조는 수상쩍게 여겨 통로와 창문의 창호지에 손을 댔다가 누군가 있으면 창피해 할 것 같아 손을 떼고 뜰 앞으로 돌아나가 창밖을 보았다. 창밖에는 늙은 너구리 한 마리가 웅크리고 있었는데 너구리는 쇼조의 모습을 보고도 도망치기는커녕 오히려 기쁜 듯이 꼬리를 흔들었다. 쇼조는 흥미롭다고 생각해 집에서 먹을 것을 가지고 와 던져 주었다. 그러자 너구리는 그걸 맛있게 먹고는 가버렸다.

그 다음 날 저녁에 쇼조가 책을 읽고 있자 또 창밖에 너구리가 와서는 웅크렸다. 쇼조가 또 먹을 것을 들고 나와 너구리 머리를 쓰다듬자 너구리는 조금도 두려워하는 기색이 없었다.

너구리는 그 다음 날 밤에도 왔다. 기다리던 쇼조는 손님방으로 불러들였다. 너구리는 처음 접하는 문에 주저하는 모습이었지만 얼마 안 있어 꼬리를 흔들며 들어왔다. 그리고 책을 읽는 쇼조 옆에 앉아 혼자서 잠시 놀다 쓸쓸한 듯이 돌아갔다.

그로부터 너구리는 매일 밤 같이 찾아왔다. 쇼조는 쓸쓸히 홀로 생활하던 자신에게 좋은 친구가 생긴 것 같아 기뻤다. 너구리는 쇼조를 잘 따라 돌아가라고 할 때까지 놀다 가게 되었다.

어느 날 밤 평소와 같이 쇼조 옆에서 노는 사이 집 밖에 큰 눈이 내렸다. 쇼조는 눈이 쌓인 걸 보고는 너구리를 내보내는 게 불쌍하게 여겨졌다. 그래서 너구리 머리를 쓰다듬으며,

"음, 너구리 공(公), 오늘 밤은 눈이 오니 쉬었다 가게나."

하고 말하자 너구리도 꼬리는 흔들며 기뻐했다. 그날 밤 너구리는 쇼조 이불 속에 들어와 잤는데, 그로부터 너구리는 쇼조의 허락 하에 자고 가게 되었다.

쇼조가 너구리를 귀여워한다는 소문이 이윽고 마을에 퍼졌다. 마을 사람은 가끔 동틀 녘쯤에 쇼조의 집에서 나오는 너구리 모습을 보기도 했지만 서로 조심해 해를 끼치는 일은 없었다. 마을 아이들도,

"선생님 너구리를 괴롭히면 안 돼."

하고 말하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쇼조가 병에 걸렸다. 처음에는 가벼운 감기였지만 그게 악화되어 중태에 빠졌다. 마을 사람들이 번갈아 가며 쇼조를 문병했는데, 그때마다 쇼조의 머리맡을 지키는 갸륵한 너구리의 모습을 보았다. 쇼조는 자신의 병이 깊어 오래가지 못할 것을 깨닫고, 어느 날 너구리에게 말했다.

"자네와도 오랫동안 친분을 나눴지만 이제 헤어져야 할 날이 왔네. 내가 가면 이제 사람 근처에 가지 않도록 하게나. 그리고 어떤 일이 있어도 논밭은 망치지 않도록 하고. 자, 이제 됐으니 돌아가게."

쇼조의 말이 끝나자 너구리는 초연(愀然)히 나갔다. 그날 밤, 쇼조는 친절한 마을 사람들의 간호 아래 숨을 거뒀다. 안세이(安永) 칠 년 유월 이십오 일의 일이었다.

그로부터 수일 후였다. 하루 일을 마친 마을 사람 한 명이 귀가를 서두르며 쇼조의 무덤 옆 근처에 막 다다랐을 때 무덤 앞에 웅크리고 있는 여자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여자는 아름다운 기모노를 입고 풀꽃 한 다발을 들었다. 자세히 보자 여자는 우는 것처럼 어깨가 미약하게 들썩였다. 이 부근에선 여태까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여자였다. 마을 사람은 누굴까 싶어 조심스레 그 옆에 갔다.

"여보시오."

마을 사람이 이렇게 말을 거는 순간, 여자의 모습은 홀연 사라지고 없었다. 옆에는 여자가 손에 들었던 풀꽃이 떨어져 있었다. 마을 사람들은 그걸 듣고는 분명 그 너구리일 거라 하며 그 갸륵한 행동과 마음에 감동을 받아 너구리를 절대로 해하지 않는다는 불문율이 생겼다. 이후 그 마을에서는 지금도 너구리를 잡지 않는다고 한다.



  1. 일본 황실의 종묘 이세신궁(伊勢神宮)의 별칭. [본문으로]
posted by 일각여삼추
2014. 1. 15. 21:32 일본괴담

再生


원문출처 : http://www.aozora.gr.jp/cards/000154/files/1618_16888.html


진시황 때 왕도평(王道平)이란 남자가 있었다. 어릴 적 같은 마을에 사는 당숙해(唐叔偕)란 여자와 부부가 되기로 약속했지만, 곧 도평은 징병되어 군인으로 남국에 정벌을 갔다가 적중(敵中)에 잡혀 구 년 동안 돌아오지 못했다. 여자 집에서는 여자가 혼기가 찬 걸 보고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르는 남자를 기다리게 할 수 없어 유상(劉祥)이라는 사람 집에 시집보내려고 했지만, 여자가 승낙하지 않았다. 그래서 억지를 부려 강제로 보냈다.

여자는 도평을 잊을 수 없어 침울해하다가 마침내 울화병에 걸려 삼 년 후에 죽고 말았다. 도평은 여자가 죽은 지 삼 년이 지나고서야 겨우 집에 돌아왔지만 꿈에도 잊지 못했던 여자가 죽어 낙담해 무덤에 찾아가,

"내가 돌아오는 게 늦어 이렇게 되어버렸소. 억울해 참을 수가 없으니 넋이 있다면 한 번이라도 좋으니 얼굴을 보여주오."

하고 말하며 우니 어디선가 죽은 여자 얼굴이 나와서,

"저는 아버지가 억지를 부려 유상에게 시집갔지만, 당신만 생각한 나머지 죽었어요. 하지만 저의 몸은 아직 정말로 죽은 게 아니라 당신과 부부가 될 수 있어요. 무덤을 파헤쳐 관에서 제 몸을 꺼내주세요."

하고 말했다. 그래서 도평은 무덤 문을 열고 안에 들어가 관뚜껑을 열고 꺼내보니, 여자가 살아났으므로 집에 데리고 갔다.

그러자 여자 남편인 유상이 관청에 호소했다. 관청에서는 법률에 따라 재판하려 했지만 그럴 법률이 없어 어쩔 수 없이 진 왕(秦王)에게 주상(奏上)하자 진 왕은 왕도평의 처로 삼으라고 하기에 도평은 여자와 부부가 되었다.

posted by 일각여삼추
2014. 1. 15. 00:34 일본괴담

怪譚小説の話


원문출처 : http://www.aozora.gr.jp/cards/000154/files/4951_16439.html


나는 글을 쓸 때 흥미로운 구상이 떠오르지 않거나 줄거리가 정돈되지 않을 때면 육조소설(六朝小説)을 꺼내 읽는다. 진당(晋唐)소설 육십 종으로 당시의 단편 육십 종을 엮어낸 총서인데 역사의 일화, 괴담, 기담이 있어 모두 나름대로 재미있다. 이즈미 교카(泉鏡花)의 "고야성(高野聖)"은 그 중 환이지(幻異志)가 실려있는 "판교삼낭자(板橋三娘子)"에서 나온 것이다. 판교에 삼낭자라는 여관을 하는 노파[각주:1]가 있어, 나그네에게 기이한 메밀떡을 먹여 당나귀로 만들어 돈을 벌었는데 조계화(趙季和)란 남자가 그걸 알고는 거꾸로 그 떡을 노파에게 먹여 당나귀로 만들었다는 이야기로, 고야성에서는 환술로 나그네를 말로 만들거나 원숭이로 만드는 아름다운 여인이 되어서 대체적 구상에서는 흔적을 못 지웠지만 그외에는 흠잡을 데가 없는 독립된 창작으로, 또 굴지의 명작이기도 해서 우에다 아키나리(上田秋成)가 서호가화(西湖佳話)에 있는 뇌봉괴적(雷峯怪蹟)을 그대로 번안한 음란한 사성(蛇性の婬)과는 큰 차이가 있다.

또 그 총서 중 "유괴록(幽怪録)"에는 이와미 주타로(岩見重太郎)의 붉은 개코원숭이 퇴치(緋狒退治)라고 하는 인신 공양 설화가 있다. 당(唐)의 곽원진(郭元振)이란 사람이 밤에 여행하고 있었는데 등불이 화려한 집이 있어 묵어가려고 가보니 십칠팔 세 되는 소녀가 한 명 울며 쓰러져 있었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마신(魔神)의 산제물이라고 하는 것이었다. 곽이 소녀를 달래고 기다리니 과연 가마에 타고 여러 명의 종자를 거느린 남자가 왔다. 곽은 희귀한 술안주를 진상한다고 사슴의 육포를 바치는 척하고 그 손을 베어 다음 날 핏자국을 쫒아가 보니 커다란 멧돼지가 있으므로 죽여서 먹었다. 이 유괴록 이야기는 명(明) 구우(瞿佑)의 "전등신화(剪燈新話)" 중 신양동(申陽洞) 기록이 바탕이 되어있다.

또 그 총서의 "속유괴록(続幽怪録)"에 있는 정혼점(定婚店) 이야기는 붉은 줄의 인연(赤縄の縁) 전설이다. 위고(韋固)라는 사람이 결혼 일로 다른 사람과 만날 약속이 있었는데, 아침 일찍 용흥사(竜興寺)라는 절에 갔더니 노인 한 명이 계단 위에서 주머니 속에 든 걸 읽고 있었다. 위고가 그게 뭐냐고 묻자 남녀 결혼에 대해 쓰여 있는 것으로, 주머니 속에 든 붉은 줄로 남과 여의 영혼을 묶으면 어떻게든 부부가 된다고 했다. 그래서 자신의 결혼에 대해 묻자 아직 준비가 덜 되었다고 하며 그의 아내가 될 여자는 올해 세 살로 열일곱이 되지 않으면 결혼은 할 수 없지만 지금 거지 같은 야채상 할머니에게 안겨서 매일 시장에 온다고 했다. 이고는 화가 나서 하인에게 명령해 죽이라고 했다. 하인은 아이 이마에 칼로 상처만 내고 도망쳤는데 십사 년 후 아내를 맞고 보니 그 아내는 항상 이마에 꽃비녀를 꽂았다. 왜 그러냐고 묻자 세 살 때 흉한에게 찔려서 상처가 났다고 했다.

요컨대 육조소설은 중국문학의 원천으로 그걸 바탕으로 많은 소설, 희곡, 시가 나왔는데 그 흐름을 보면 "소신기(捜神記)", "전등신화(剪燈新話)", "서호가화(西湖佳話)", "요재지이(聊斎志異)"라고 하는 괴담소설이 되었다. 아키나리(秋成)의 음란한 사성(蛇性の婬)이 "서호가화"의 번안이라는 건 이미 말했는데, 엔조(円朝)의 괴담으로 유명한 "모단등롱(牡丹燈籠)"은 "전등신화"에 있는 모단등기(牡丹燈記)에서 나온 것으로 이 모단등기 이야기는 다른 이야기로도 여럿 만들어졌다. 고이즈미 야쿠모(小泉八雲)의 괴담에 나오는 귀없는 법사 이야기(耳なし法師の話) 또한 모단등기의 변형이다.

고이즈미 야쿠모의 괴담에서 내가 좋아하는 건 오소리 괴담이다. 상인이 기(紀)나라 국경을 지나는데 소녀가 울고 있었다. 곁에 다가가 달래주려고 하자 소녀가 고개를 들었는데 눈과 코가 없는 놋페라보였다.

이 놋페라보 이야기는 혼죠(本所) 7대 불가사의 오이테케보리(置いてけ堀)와 비슷하다. 내 고향에도 이 계통의 이야기가 있다. 한쪽에 산이 있고 또 한쪽에는 밭과 소나무숲이 있는 인가(人家)고 뭐고 없는 곳에, 동쪽에서 오면 산 입구에 샤미센 소나무(三味線松)라고 덴구(天狗)가 샤미센을 켰다는 전설이 있는 소나무가 있어 나 또한 어릴 적 아주 무서워했다.

어느 날 저녁, 마을 여자 한 명이 그 샤미센 소나무 아래를 지나가는데 바로 앞에 여자가 걷고 있었다. 마을 여자는 동행이 생겨 반가운 마음에 옆에 다가가서 사투리로,

"저기, 같이 가시면 어떨까요. 이상한 게 나오면 든든하잖아요."

하자 앞에 가던 여자는,

"어머, 저 말인가요."

하고 돌아보는데, 여자는 눈과 코가 없는 놋페라보였다.



  1. 여기서 원문은 노파이지만 판교삼낭자 원작에서 삼낭자는 30여 세로 나온다. [본문으로]
posted by 일각여삼추
prev 1 next